참고. 합동의 정의에 의해서 합동관계 $\equiv$는 동치관계(equivalence relation)임을 간단히 보일 수 있다.
다음의 정리는 주어진 합동식에 정수 $c \in \Z$를 곱하거나 나누었을 때에, 합동식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준다.
증명. (2) $d = \gcd(c,\,m)$이라 하자. $ca \equiv cb \pmod{m}$를 가정했으므로, $m \mid c(a-b)$를 얻고 따라서 $\frac{m}{d} \mid \frac{c}{d}(a-b)$를 얻는다. 한 편, $\gcd(\frac{m}{d},\, \frac{m}{c}) = 1$이므로 $\frac{m}{d} \mid (a-b)$이다. 즉, $a \equiv b \pmod{\frac{m}{d}}$이 성립한다..
합동류(congruence class)
이제부터 자연수 $m \in \N$을 언제나 주어진 합동식의 법으로 사용하도록 하자.
참고. 합동관계 $\equiv$가 동치관계이므로 잉여류는 동치류(equivalence class)이다. 즉, 임의의 두 정수 $a,\,b \in \Z$에 대하여 $\bar{a} = \bar{b}$ 또는 $\bar{a} \cap \bar{b} = \emptyset$ 둘 중 하나만이 성립한다. 특히, $\bar{a} = \bar{b}$일 필요충분조건은 $a \equiv b \pmod{m}$인 것이다.
법 $m$에 대한 가장 대표적인 완전잉여계로는 $\{0,\, 1,\, 2,\, \ldots,\, m-1\}$이 있다. 하지만 완전잉여계가 반드시 이와 같은 꼴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법 $3$에 대한 대표적인 완전잉여계는 $\{0,\, 1,\, 2\}$지만, $\{1,\, 3,\, 5\}$ 또는 $\{1,\, 5,\, 6\}$ 또한 법 $3$에 대한 완전잉여계이다.
일반적으로 집합 $\{x_{1},\, x_{2},\, x_{3},\, \ldots,\, x_{m}\}$에 대하여 다음의 명제들은 동치이다.
$\{x_{1},\, x_{2},\, x_{3},\, \ldots,\, x_{m}\}$는 법 $m$에 대한 완전잉여계이다.
임의의 정수 $a \in \Z$에 대하여, $a \equiv x_{i} \pmod{m}$을 만족하는 $x_{i}$가 유일하게 존재한다.
임의의 $i,\,j \in \{1,\,2,\, \ldots,\, m\}$에 대하여 $i \neq j$ 이면 $x_{i} \not\equiv x_{j} \pmod{m}$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