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코시수열(Cauchy sequence)

Table of Contents

  1. 실수 체계(real number system)
    1. 실수 체계(real number system)
    2. 실수의 완비성(completeness)
    3. 실수의 비가산성(uncountability)
  2. 수열(sequence)의 극한(limit)
    1. 수열(sequence)의 극한(limit)
    2. 부분수열(subsequence)
    3. 코시수열(Cauchy sequence)
  3. 급수(series)
    1. 급수(series)
    2. 수렴 판정법
    3. 멱급수(power series)
  4. 함수(function)와 연속성(continuity)
    1. 함수의 극한
    2. 실수의 완비성(completeness)
    3. 실수의 비가산성(uncountability)
  5. 미분(differentiation)
    1. 미분계수와 도함수(derivative)
    2. 실수의 완비성(completeness)
    3. 실수의 비가산성(uncountability)
  6. 리만 적분(Riemann integration)
    1. 리만 적분(Riemann integration)
    2. 리만 적분의 성질
    3. 실수의 비가산성(uncountability)
  7. 균등 연속(uniform continuous)
    1. 실수 체계(real number system)
    2. 실수의 완비성(completeness)
    3. 실수의 비가산성(uncountability)

정의 2.3.1 코시수열(Cauchy sequence)

수열 $(a_{n})$이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임의의 $\epsilon > 0$에 대하여 적당한 자연수 $N \in \N$이 존재하여, $m \geq n > N$일 때마다 $\abs{a_{m}-a_{n}} < \epsilon$이 성립하면, 수열 $(a_{n})$이 코시수열(Cauchy sequence)이라고 한다.

 

먼저 코시수열의 정의에 의해서 아래의 사실들을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정리 2.3.2

수열 $(a_{n})$이 수렴하면, $(a_{n})$은 코시수열이다.

 

증명. 수열 $(a_{n})$이 극한 $L$로 수렴한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임의의 $\epsilon > 0$에 대하여 적당한 자연수 $N \in \N$이 존재하여 $n > N$일 때마다 $\abs{a_{n}-L} < \frac{\epsilon}{2}$이 성립한다. 따라서 임의의 자연수 $m \geq n > N$에 대하여 \[ \abs{a_{m}-a_{n}} \leq \abs{a_{m}-L} + \abs{L-a_{n}} < \frac{\epsilon}{2} + \frac{\epsilon}{2} = \epsilon \] 이 성립한다. 따라서 $(a_{n})$은 코시수열이다..

 

정리 2.3.3

수열 $(a_{n})$이 코시수열이면, $(a_{n})$은 유계이다.

 

증명. 수열 $(a_{n})$이 코시수열이라 하자. 이제 $\epsilon=1$로 잡으면, 적당한 자연수 $N_{0} \in \N$이 존재하여 $m \geq n > N_{0}$일 때마다 $\abs{a_{n}-L} < 1$이 성립한다. 특히 $n = N_{0}+1$이라 하면, 모든 $m \geq N_{0}+1$에 대하여 \[ \abs{a_{m}-a_{N_{0}+1}} < 1 \implies \abs{a_{m}} < 1 + \abs{a_{N_{0}+1}} \] 임을 알 수 있다. 이제 \[ M = \max\{ \abs{a_1},\, \abs{a_2},\, \ldots,\, \abs{a_{N_{0}}},\, \abs{L}+1 \} \] 로 잡으면 모든 $n \in \N$에 대하여 $\abs{a_n} \leq M$이 되어 $(a_n)$은 유계이다..

 

예제. 유계인 수열이 언제나 수렴하는 수열은 아니었듯이, 유계인 수열이 언제나 코시수열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열 $(a_{n})$을 $a_{n} = (-1)^{n}$으로 정의하면, $(a_{n})$은 유계이지만 모든 자연수 $n \in \N$에 대하여 $\abs{a_{n+1}-a_{n}} = 2$이므로 $\epsilon=1$로 잡으면 $(a_{n})$이 유계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아래의 정리는 (정리 2.3.2와 함께) 실수에서 수열 $(a_{n})$이 수렴한다는 사실과 코시수열이라는 사실은 서로 동치임을 보여준다.

 

정리 2.3.4

수열 $(a_{n})$이 코시수열이면, $(a_{n})$은 수렴한다.

 

증명. 수열 $(a_{n})$이 코시수열이라 하자. 그러면 정리 2.3.3에 의해 $(a_{n})$은 유계이고 따라서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에 의해 $(a_{n})$의 수렴하는 부분수열 $(a_{n_{k}})$가 존재한다. 이 부분수열의 극한을 $L$이라 하자. 그러면 적당한 자연수 $N_{1} \in \N$이 존재하여 $n_{k} > N_{1}$일 때마다 $\abs{a_{n_{k}}-L} < \frac{\epsilon}{2}$가 성립한다. 또한 $(a_{n})$이 코시수열이므로, 적당한 자연수 $N_{2} \in \N$이 존재하여 $m \geq n > N_{2}$일 때마다 $\abs{a_{m}-a_{n}} < \frac{\epsilon}{2}$이 성립한다. 이제 $N = \max\{N_{1},\, N_{2}\}$라 하자. 그러면 모든 $n_{k} \geq n > N$에 대하여, \[ \abs{a_{n}-L} \leq \abs{a_{n}-a_{n_{k}}} + \abs{a_{n_{k}}-L} < \frac{\epsilon}{2} + \frac{\epsilon}{2} = \epsilon \] 이 성립한다. 따라서 $(a_n)$은 극한 $L$로 수렴한다..

 

참고. 정리 2.3.4에 의해서 주어진 수열 $(a_{n})$의 극한을 알지 못하더라도 이 수열의 수렴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열 $(a_{n})$의 수렴성을 $(a_{n})$이 코시수열임을 보임으로서 증명하는 방법을 코시 판정법(Cauchy criterion)이라 한다.

 

참고. 실수집합 $\R$에 대하여, 상한공리(공리 1.2.1), 정리 2.1.3,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정리 2.2.4), 그리고 정리 2.3.4는 모두 동치 명제임을 보일 수 있다. 즉, 실수집합 $\R$에 대하여 다음 명제들은 모두 동치이다.

  1. 위로 유계인 부분집합 $S \subset \R$은 상한을 갖는다.
  2. 수열 $(a_{n})$이 증가수열이고 위로 유계이면, $(a_{n})$은 수렴한다.
  3. 수열 $(a_{n})$이 유계이면, $(a_{n})$은 수렴하는 부분수열을 갖는다.
  4. 수열 $(a_{n})$이 코시수열이면, $(a_{n})$은 수렴한다.

1.3

위로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