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Juyoung Jeong

르장드르의 정리(Legendre's theorem)와 쿠머의 정리(Kummer's theorem)

      Comments Off on 르장드르의 정리(Legendre's theorem)와 쿠머의 정리(Kummer's theorem)

소수 $p$가 주어졌다고 하자. $0$이 아닌 임의의 정수 $n$에 대하여, $n$의 $p$진 값매김($p$-adic valuation)은 $\nu_{p}(n)$을 $p^{\nu}$가 $n$를 나누게 하는 양의 정수 $\nu$ 중 가장 큰 수로 정의한다. 또한 $\nu_{p}(0) =... Read more »

루빅스 큐브(Rubik's cube) - 악마의 수(devil's number)에 대하여

      Comments Off on 루빅스 큐브(Rubik's cube) - 악마의 수(devil's number)에 대하여

이전 글에서 임의로 섞인 루빅스 큐브를 맞추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회전수, 즉, 신의 수(God's number)는 20이라는 사실에 대해 살펴 보았다. 이제 조금 관점을 바꾸어서 생각해 보자. 어떤 공식을 단순히 반복 적용하여 (약 4,300경... Read more »

루빅스 큐브(Rubik's cube) - 신의 수(God's number)에 대하여

      Comments Off on 루빅스 큐브(Rubik's cube) - 신의 수(God's number)에 대하여

루빅스 큐브는 헝가리 조각가이자 교수인 에르뇌 루빅(Rubik Erno) 교수가 1974년에 발명한 3x3x3 정육면체 모양의 퍼즐이다. 이 퍼즐의 발명 이후, 루빅스 큐브는 전세계적으로 많은 사랑을 받아 왔다. 수학자들 또한 루빅스 큐브에... Read more »

외접 다각형 상수(polygon circumscribing constant)와 내접 다각형 상수(polygon inscribing constant)

      Comments Off on 외접 다각형 상수(polygon circumscribing constant)와 내접 다각형 상수(polygon inscribing constant)

원이 하나 주어졌다고 하자. 이 원에 외접하는 정삼각형을 하나 그리고 다시 정삼각형에 외접하는 원을 그린다. 이제 이 원에 외접하는 정사각형을 그리고 다시 정사각형에 외접하는 원을 그린다. 다음으로 이 원에 외접하는... Read more »

군론(group theory)를 이용한 정수론의 정리 증명

      Comments Off on 군론(group theory)를 이용한 정수론의 정리 증명

정수론에서 합동(modular)의 개념을 정의하고 나서 바로 배우는 세 가지의 정리가 있다. 이들은 각각 페르마의 소정리(Fermat's little theorem), 오일러의 정리(Euler's theorem), 그리고 윌슨의 정리(Wilson's theorem)를 말하는데, 이 정리를 기반으로 합동식에 대한... Read more »

파도아의 부등식(Padoa's Inequality)과 오일러의 부등식(Euler's inequality)

      Comments Off on 파도아의 부등식(Padoa's Inequality)과 오일러의 부등식(Euler's inequality)

파도아의 부등식(Padoa's Inequality)은 임의의 삼각형 $ABC$의 세 변 $a,\,b,\,c$ 사이에 성립하는 다음의 부등식을 말한다. \[ abc \geq (a + b - c)(a + c - b)(b + c - a)... Read more »

택시캡수(taxicab number)와 캡택시수(cabtaxi number)

      Comments Off on 택시캡수(taxicab number)와 캡택시수(cabtaxi number)

다음은 수학자 하디(G. H. Hardy)가 그의 제자 라마누잔(S. Ramanujan)의 병문안을 갔을 때의 일화이다. 1918년 2월, 입원 중이던 라마누잔의 병문안을 가시 위해서 하디가 탄 택시의 번호는 $1729$였다. 병원에 도착한 하디는 라마누잔에게... Read more »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체비쇼프 방법(Chebyshev method)

      Comments Off on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체비쇼프 방법(Chebyshev method)

지난 글에서는 드 무아브르 공식(de Moivre's formula)를 이용하여 사인 함수과 코사인 함수의 $n$배각 공식을 간단히 얻는 방법을 살펴 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코사인 함수, 사인 함수, 탄젠트 함수의 $n$배각공식에 재귀적으로 얻는... Read more »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드 무아브르 공식(de Moivre's formula)

      Comments Off on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드 무아브르 공식(de Moivre's formula)

삼각함수에 대한 모든 항등식은 아래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로 부터 증명할 수 있다. \[ \begin{align*} \sin(x \pm y) &= \sin(x) \cos(y) \pm \cos(x) \sin(y) \\[5px] \cos(x \pm y) &= \cos(x) \cos(y) \mp... Read more »

짝수 완전수(perfect number)와 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

      Comments Off on 짝수 완전수(perfect number)와 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

완전수(perfect number) 정수론에서, 완전수(perfect number)란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모두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6$의 양의 약수는 $1,\,2,\,3,\,6$이고, $1 + 2 + 3...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