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Mathematics

군론(group theory)를 이용한 정수론의 정리 증명

      Comments Off on 군론(group theory)를 이용한 정수론의 정리 증명

정수론에서 합동(modular)의 개념을 정의하고 나서 바로 배우는 세 가지의 정리가 있다. 이들은 각각 페르마의 소정리(Fermat's little theorem), 오일러의 정리(Euler's theorem), 그리고 윌슨의 정리(Wilson's theorem)를 말하는데, 이 정리를 기반으로 합동식에 대한... Read more »

파도아의 부등식(Padoa's Inequality)과 오일러의 부등식(Euler's inequality)

      Comments Off on 파도아의 부등식(Padoa's Inequality)과 오일러의 부등식(Euler's inequality)

파도아의 부등식(Padoa's Inequality)은 임의의 삼각형 $ABC$의 세 변 $a,\,b,\,c$ 사이에 성립하는 다음의 부등식을 말한다. \[ abc \geq (a + b - c)(a + c - b)(b + c - a)... Read more »

택시캡수(taxicab number)와 캡택시수(cabtaxi number)

      Comments Off on 택시캡수(taxicab number)와 캡택시수(cabtaxi number)

다음은 수학자 하디(G. H. Hardy)가 그의 제자 라마누잔(S. Ramanujan)의 병문안을 갔을 때의 일화이다. 1918년 2월, 입원 중이던 라마누잔의 병문안을 가시 위해서 하디가 탄 택시의 번호는 $1729$였다. 병원에 도착한 하디는 라마누잔에게... Read more »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체비쇼프 방법(Chebyshev method)

      Comments Off on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체비쇼프 방법(Chebyshev method)

지난 글에서는 드 무아브르 공식(de Moivre's formula)를 이용하여 사인 함수과 코사인 함수의 $n$배각 공식을 간단히 얻는 방법을 살펴 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코사인 함수, 사인 함수, 탄젠트 함수의 $n$배각공식에 재귀적으로 얻는... Read more »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드 무아브르 공식(de Moivre's formula)

      Comments Off on 삼각함수의 $n$배각공식과 드 무아브르 공식(de Moivre's formula)

삼각함수에 대한 모든 항등식은 아래 삼각함수의 덧셈정리로 부터 증명할 수 있다. \[ \begin{align*} \sin(x \pm y) &= \sin(x) \cos(y) \pm \cos(x) \sin(y) \\[5px] \cos(x \pm y) &= \cos(x) \cos(y) \mp... Read more »

짝수 완전수(perfect number)와 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

      Comments Off on 짝수 완전수(perfect number)와 메르센 소수(Mersenne prime)

완전수(perfect number) 정수론에서, 완전수(perfect number)란 자기 자신을 제외한 양의 약수를 모두 더했을 때 자기 자신이 되는 양의 정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6$의 양의 약수는 $1,\,2,\,3,\,6$이고, $1 + 2 + 3... Read more »

집합 위에 정의된 이항관계(binary relation)

      Comments Off on 집합 위에 정의된 이항관계(binary relation)

주어진 집합 $A$에 대하여 $A$ 위에서 정의된 이항관계(binary relation)이란, $A$의 원소들로 이루어진 순서쌍들의 모임이다. 즉, 곱집합 $A \times A$의 부분집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제부터 $R$을 집합 $A$ 위의 이항관계라 하자.... Read more »

두 무한급수의 합

      Comments Off on 두 무한급수의 합

다음과 같이 두 무한급수를 정의하자. \[ \begin{align*} S_{1} &= \sum_{n=0}^{\infty} \frac{1}{2^n} = 1 + \frac{1}{2} + \frac{1}{4} + \frac{1}{8} + \frac{1}{16} + \cdots \\[5px] S_{2} &= \sum_{n=0}^{\infty} \frac{n}{2^n} = 0... Read more »

반대칭행렬(skew-symmetric matrix)의 행렬식(determinant)

      Comments Off on 반대칭행렬(skew-symmetric matrix)의 행렬식(determinant)

반대칭행렬(skew-symmetric matrix)이란 전치행렬(transpose)이 덧셈의 역원과 같은 행렬이다. 즉, $n \times n$ 실행렬 $A$에 대하여 $A^{\T}= -A$가 성립할 때, $A$를 반대칭행렬이라 한다. 따라서 임의의 반대칭행렬 $A$에 대하여 $a_{ij}$를 행렬 $A$의 $(i,\,j)$-원소라... Read more »

일반화된 다항식의 나머지 정리(generalized polynomial remainder theorem)

      Comments Off on 일반화된 다항식의 나머지 정리(generalized polynomial remainder theorem)

다항식의 나눗셈 정리(polynomial division theorem)에 의하면 다음 사실이 성립한다: 서로 다른 두 다항식 $f$, $g$에 대하여 아래 다항식을 만족하는 두 다항식 $q$와 $r$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 f(x) = g(x)q(x) +...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