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Juyoung Jeong

더 많은 특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

      Comments Off on 더 많은 특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

특수각에 대한 삼각함수의 값은 아래와 같이 주어진다. 아래 표에서 파란색으로 나타낸 숫자들의 변화에 주목하자.   각 $(a)$ $\sin(a)$ 또는 $\cos(b)$ 각 $(b)$ deg rad deg rad 0 0 $\dfrac{\sqrt{\textcolor{blue}{0}}}{2}$ $=$... Read more »

순서체(ordered field)에 대하여

      Comments Off on 순서체(ordered field)에 대하여

순서체(ordered field)란 체(field) $F$에 순서 구조가 주어진 공간을 말한다. 순서체의 수학적 정의는 다음과 같다.   정의. 순서체(ordered field) $F$가 임의의 체(field)하 하자. 그러면 다음 두 주건을 만족하는 집합 $P \subseteq... Read more »

닫힌 유계 집합이지만 옹골집합이 아닌 집합

      Comments Off on 닫힌 유계 집합이지만 옹골집합이 아닌 집합

$(X,\, \norm{\vphantom{|}\cdot})$가 노름공간(finite dimensional normed vector space)이라 하자. 그러면 하이네-보렐 정리(Heine-Borel theorem)에 의해 다음 사실이 성립한다. $ $ 정리. 하이네-보렐 정리(Heine-Borel theorem) $X$가 유한차원이면, 임의의 부분집합 $S$에 대하여 다음이 동치이다. $S$는 닫힌 집합(closed... Read more »

라비의 판정법(Raabe's test)을 포함한 다양한 급수의 수렴 판정법들

      Comments Off on 라비의 판정법(Raabe's test)을 포함한 다양한 급수의 수렴 판정법들

비 판정법은 급수의 수렴 여부를 판정하는 매우 강력한 도구 중 하나이다. 비 판정법이란, "주어진 급수 $\sum_n a_n$에 대하여 다음의 극한 \[ \lim_{n \to \infty} \abs{\frac{a_n}{a_{n+1}}} = L \] 에 대하여, $L>1$인... Read more »

모든 유리수점에서 연속이고 모든 무리수점에서 불연속인 함수

      Comments Off on 모든 유리수점에서 연속이고 모든 무리수점에서 불연속인 함수

지난 글에서 토매 함수(Thomae function)이라 불리는 함수를 정의하고, 이 함수가 모든 유리수점에서 불연속이고 모든 무리수점에서 연속인 함수임을 보였다. 이 관찰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자연스러운 질문을 던질 수 있다. 모든 유리수점에서... Read more »

행렬 이론의 과거와 현재

      Comments Off on 행렬 이론의 과거와 현재

※ 출처 - 선형대수학 멀티미디어 교재   행렬과 행렬식에 관한 연구의 출발은 기원전 4세기일 것으로 추측한다. 그러나 연구 결과의 기록은 구체적으로 기원전 2세기의 것부터 남아있으며, 연구를 위한 수단이 갖추어지는 17세기말이... Read more »

수학적 귀납법 (Mathematical Induction) - 3. 위상적 귀납법과 조밀성

      Comments Off on 수학적 귀납법 (Mathematical Induction) - 3. 위상적 귀납법과 조밀성

조밀성(compactness)은 위상수학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처음 조밀성에 대한 정의를 처음 접할땐, 그 중요성이 한 눈에 와 닿지는 않는게 사실이다. 그것은 아마 다른 개념들과는 (예를 들어, 연속성(continuity)이나 연결성(connectedness)... Read more »

위상공간을 정의하는 동치 공리들

      Comments Off on 위상공간을 정의하는 동치 공리들

이전 글에서 우리가 흔히 위상수학이라고 부르는 일반위상수학(general topology) 또는 점-집합 위상수학(point-set topology)은 최소한의 공리로부터 시작하여 집합 위에서의 극한 및 연속성을 잘 정의하기 위해서 시작한 수학의 한 분야임을 살펴 보았다. 이를 다시... Read more »